[앵커]<br />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철성 경찰청장이 직접 나설 정도로 경찰의 이른바 수사권 독립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한데요.<br /><br />하지만, 동료 여경 해킹과 성추행 등 일선 경찰들의 비리가 잇따르면서 명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최기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경찰대학에서 생활지도를 담당하던 36살 김 모 경감은 술을 마시다 여학생을 성추행한 혐의로 지난달 14일 해임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7일에는 동료 여경 컴퓨터를 해킹해 사생활을 캐낸 뒤 돈을 뜯어낸 43살 전 모 경위가 구속됐습니다.<br /><br />[경기 화성동부경찰서 관계자 : 수사 진행해서 언론 보고 알았어요. 수사하는 과에다가 한 번 물어보세요. 저 이만 끊겠습니다.]<br /><br />최근 서울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관은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성매매한 혐의로 조사를 받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경찰 수장까지 직접 나서서 수사권 독립을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, 이처럼 일선 경찰들의 추문이 이어지자 경찰은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 경찰 관계자는 대선을 앞두고 모처럼 수사권 독립을 위한 분위기가 조성된 마당에 비리 사건이 걸림돌이 될까 걱정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이철성 경찰청장은 시대정신을 담고 국민 편익도 증진되는 방향으로 정리되지 않겠냐면서 수사권 조정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경찰 수사권 독립 시도는 역대 정권에서 번번이 논의됐지만, 모두 실패로 끝났습니다.<br /><br />김대중 정부 때는 이른바 '지방자치경찰제' 도입,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'검·경 수사권 조정 협의체'로 조정을 시도했지만, 검찰의 강한 반대로 결렬됐습니다.<br /><br />이명박 전 대통령은 5대 강력범죄를 제외한 범죄에는 경찰 독자 수사권을 인정하자는 입장을 밝혔고, 박근혜 전 대통령도 조정 공약을 내놨지만, 불발로 끝났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경찰의 숙원인 수사권 독립을 위해서는 내부 단속을 통해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게 우선이라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[곽대경 /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: 경찰 내부에 자체적인 정화라든지 어떤 직무 전문성을 높이는 이런 것에 대한 노력을 더….]<br /><br />모든 대선 후보들이 적극적으로 수사권 조정 검토 입장을 밝히면서 경찰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, 잇단 비리 사건이 터지면서 경찰의 오랜 요구 사항이 현실화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YTN 최기성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50207573067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